
서론 이번 포스팅은 Centos7을 서버를 구축하고나서 계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해야했던 작업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Centos7 서버를 구축하게 된다면 root 계정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인프라를 사용하는데 있어 root 계정을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무서운 행위입니다. 첫번째, 보안적인 측면에서 root 계정을 공유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이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이 될 경우 해킹 그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모든 권한을 가진다 - root 권한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접근, 삭제 , 변경 등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실수가 발생하여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

이전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는 무료로 NCP 서버를 생성을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ACG 생성 이후 Public IP를 부여하고, Shell 이나 Putty 등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 글 - NCP[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생성하기 Server 접속을 위한 공인 IP 생성Server를 생성하였다면 작용 서버 선택에서 해당 공인 IP를 신청할 서버를 선택합니다.최종 신청 정보를 확인 하고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 접속을 위한 포트 포워딩 설정 공인 IP 생성시 port 22번과 함께 SSH에 접속이 가능하지만, 포트 포워딩을 통하여 Port 22번과 공인 IP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아닌, 설정된 별도의 외부 포트로 접..

이번 글은 NCP에 무료로 서버를 구축하여 SSH에 접속하는 것까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의 사항.서버 타입을 Micro로 선택해야 무료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회원가입 이후 결제 수단을 설정한 날짜 기준으로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서버 생성1. 콘솔로그인을 하게 되면, 콘솔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해당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여러 API 또는 인프라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가 나옵니다.2. Server 카테고리 선택 Services를 선택하게 되면 All 부분에서 Server 카테고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Server를 선택합니다. Classic 과 VPC 차이Classic모든 리소스가 동일한 테트워크 영역에 속합니다.초기에 간편하게 사용하기 좋으며, 복잡한 ..

서론 본 글에서는 Message Broker 중 실시간 메시지 처리에 최적화 및 현재 인기가 많은 RabbitMQ에 대하여 실제 적용해 보며 느꼈던 교환 유형에 대한 중요성을 정리하고자 합니다.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RabbitMQ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기 보단, 그 뒤의 구체적인 교환(Exchange) 유형 방식에 대한 내용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RabbitMQ는 총 4가지 유형의 Exchange Type이 존재합니다. `Direct`,`Topic`,`Fanout`,`Headers` 각 교환 유형에는 다른 매개변수와 바인딩 설정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다르게 라우팅 하게 됩니다. 1. Direct Exchange (직접 교환)직접 교환의 라우팅은 간단합니다. 메세지는 바인딩 키가 메시지의 라..

최근 Hazelcast Client/Server를 이용하여 두 서버의 세션과 캐시를 공유처리 작업을 진행했었습니다. Hazelcast 방식에는 Embedded 방식과 Client/Server 방식으로 세션 또는 캐시를 관리할 수 있었는데 이 중 좀 더 확장성 있고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서버가 가볍게 존재할 수 있는 Client/Server를 적용하였습니다. 그래서 그 과정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Client/Server를 선택한 이유 Client/Server 모드는 Hazelcast 클러스터와 응용프로그램 즉 Java Application이 분리되어 존재하여 확장성이 좋고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장점이었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Client/Server 모드를 이용하게 된다면 Clus..
- Total
- Today
- Yesterday
- 컨테이너
- dockerfile
- 권한
- 스케줄러
- Linux
- 정의
- 알고리즘
- 도커
- spring
- mybatis
- 이미지
- insert
- MySQL
- Quartz
- dfs
- 캐시
- Cache
- ncp
- 캘린더
- 격리수준
- hazelcast
- docker
- 네이버 클라우드
- Java
- 개념 이해하기
- 리눅스
- leatcode
- LocalDate
- centos7
- Loc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