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rtual Host(가상 호스트)는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웹사이트를 서비스함을 의미합니다. 예시로 기존 서버를 www.aaa.com을 운영하고 있는데 서비스가 다른 www.bbb.com을 웹서버로 추가하여 운영을 하고자 한다 했을 경우 서버는 한대이고 , IP도 하나입니다. 두 도메인은 같은 ip로 설정되어 있는데, 각각의 도메인으로 접속을 했을 때는 서로 다른 화면을 보여주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사용하는 것이 Virtual Host입니다. 예시) 실습 환경 CentOs 7 방화벽 - off Apache/2.4.6 먼저 apache httpd 설정 경로로 이동합니다(apache는 nginx와 동일한 역할) 경로 : /etc/httpd/conf.d/ 특정 (파일명).conf 접속 또..
시청 관련하여 작업을 진행하던 중에 PermGen space라는 이슈가 발생해서 이와 관련 처리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합니다. 근본적으로 발생 원인은 Tomcat이 가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를 넘어 섰을 경우 발생하는 이슈입니다. 이런 최대 메모리 초과 이슈의 조건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인 발생 원인은 코드 작성 시 메모리를 신경쓰지 않고 만들었거나? 또는 톰켓 자체 설정의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문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방법 두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대표적인 두가지라고 했는데 뭐 제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코드를 잘 짜는거?가 우선적으로 되야겠지만 두가지를 말해 보자면 첫번째 : 톰켓 설정 하는 것 기본적인 톰켓 설정의 메모리 크기값이 있겠지만 이러한 이슈가 발생할 ..
- Total
- Today
- Yesterday
- ncp
- dockerfile
- 격리수준
- 권한
- Lock
- 네이버 클라우드
- Linux
- Cache
- centos7
- 컨테이너
- docker
- 캐시
- 도커
- 정의
- Java
- 캘린더
- MySQL
- 알고리즘
- Quartz
- hazelcast
- dfs
- 이미지
- insert
- leatcode
- spring
- 개념 이해하기
- 리눅스
- 스케줄러
- LocalDate
- mybati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