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이번 포스팅은 Lock에 대한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찾아보았던 MySQL의 격리 수준에 대하여 정리한 내용들 입니다.모든 내용은 MySQL 공식 문서를 참고한 자료이며, 기준은 InnoDB에 대한 설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격리수준 중 SERIALIZABLE 와 REPEATABLE READ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며, 추후 격리 수준을 더 다룰 예정입니다.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Transaction Isolation Level)트랜 잭션의 격리 수준이란,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처리될 때, 특정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에서 변경하거나 조회하는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허용 여부를 결정짓는 것입니다.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은 격리 수준이 높은 순으로 SERIALIZABLE, REPEATA..

서론. 이번 포스팅 글은 SpringBoot와 Mysql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NCP(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에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를 적용해 보았던 일대기를 정리한 글입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Boot 와 Mysql에 대해서는 서버 띄우는 환경 세팅만을 공유합니다. 오직 CI/CD에 대한 적용 기를 주된 포스팅이 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배포 자동화 세팅 방식은 무료로 제공해주는 서버에 Docker 허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푸시하고 그 후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올리는 방법을 선택하였습니다. 이유라고 하면.... 좀 더 간단하게 배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 이기에 선택하였습니다.^^ 자세한 정보 : https://github.com/rhkdgur/..
서론.이번 포스팅 글은 CI/CD github Action을 하는 과정에서 일반 계정 사용자를 이용하여 Deploy 했을 시 발생했던 이슈에 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문제 발생 발단. - name: Bootup server uses: cross-the-world/ssh-scp-ssh-pipelines@latest with: host: ${{ secrets.HOST_IP }} user: ${{ secrets.POSTOFFICE_NAME }} pass: ${{ secrets.POSTOFFICE_PASS }} port: ${{ secrets.PORT }} connect_timeout: 10s first_ssh: | ..

서론 이번 포스팅은 Centos7을 서버를 구축하고나서 계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해야했던 작업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Centos7 서버를 구축하게 된다면 root 계정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인프라를 사용하는데 있어 root 계정을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무서운 행위입니다. 첫번째, 보안적인 측면에서 root 계정을 공유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이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이 될 경우 해킹 그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모든 권한을 가진다 - root 권한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접근, 삭제 , 변경 등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실수가 발생하여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

이전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는 무료로 NCP 서버를 생성을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ACG 생성 이후 Public IP를 부여하고, Shell 이나 Putty 등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 글 - NCP[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서버 생성하기 Server 접속을 위한 공인 IP 생성Server를 생성하였다면 작용 서버 선택에서 해당 공인 IP를 신청할 서버를 선택합니다.최종 신청 정보를 확인 하고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 접속을 위한 포트 포워딩 설정 공인 IP 생성시 port 22번과 함께 SSH에 접속이 가능하지만, 포트 포워딩을 통하여 Port 22번과 공인 IP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아닌, 설정된 별도의 외부 포트로 접..

이번 글은 NCP에 무료로 서버를 구축하여 SSH에 접속하는 것까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의 사항.서버 타입을 Micro로 선택해야 무료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회원가입 이후 결제 수단을 설정한 날짜 기준으로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서버 생성1. 콘솔로그인을 하게 되면, 콘솔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해당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여러 API 또는 인프라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가 나옵니다.2. Server 카테고리 선택 Services를 선택하게 되면 All 부분에서 Server 카테고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Server를 선택합니다. Classic 과 VPC 차이Classic모든 리소스가 동일한 테트워크 영역에 속합니다.초기에 간편하게 사용하기 좋으며, 복잡한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 캘린더
- 격리수준
- 컨테이너
- dockerfile
- spring
- 개념 이해하기
- ncp
- Java
- leatcode
- mybatis
- Linux
- insert
- dfs
- Cache
- 캐시
- 알고리즘
- docker
- 리눅스
- 네이버 클라우드
- 이미지
- hazelcast
- Lock
- LocalDate
- centos7
- 권한
- MySQL
- 스케줄러
- Quartz
- 정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