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Hazelcast Client/Server를 이용하여 두 서버의 세션과 캐시를 공유처리 작업을 진행했었습니다. Hazelcast 방식에는 Embedded 방식과 Client/Server 방식으로 세션 또는 캐시를 관리할 수 있었는데 이 중 좀 더 확장성 있고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서버가 가볍게 존재할 수 있는 Client/Server를 적용하였습니다. 그래서 그 과정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Client/Server를 선택한 이유 Client/Server 모드는 Hazelcast 클러스터와 응용프로그램 즉 Java Application이 분리되어 존재하여 확장성이 좋고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장점이었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Client/Server 모드를 이용하게 된다면 Clus..
프로그램 언어/Spring
2024. 2. 29. 01:30
250x250
반응형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캐시
- 도커
- Lock
- hazelcast
- LocalDate
- centos7
- MySQL
- dockerfile
- mybatis
- 이미지
- 개념 이해하기
- 권한
- dfs
- 네이버 클라우드
- Quartz
- Linux
- insert
- 캘린더
- ncp
- 격리수준
- 알고리즘
- 컨테이너
- docker
- spring
- 스케줄러
- 정의
- leatcode
- 리눅스
- Java
- Cach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